DataBase

[MongoDB] Windows10 MongoDB 설치

토발자 2022. 12. 2. 00:45
반응형

파이썬에 이어 MongoDB까지 사용해볼 일이 생겼다.

기존 개인 토이프로젝트에서는 MySQL만 사용해보았고, 회사에서는 MSSQL, MySQL을 함께 쓰는데, MongoDB는 처음이니 다운로드와 설치부터 해보자!


1. MongoDB 설치파일 다운로드

  • MongoDB 다운로드 페이지로 접속(https://www.mongodb.com/try/download/enterprise)
  • MongoDB Enterprise Server 클릭 후 본인 OS 선택 및 Package는 msi로 선택 후 다운로드 클릭
    • 2022년 12월 1일 기준 가장 최신 버전은 6.0.3 버전

 

2. 설치파일 실행

  • 다운로드 받은 설치파일 실행

  • 라이센스 동의 조항 체크 후 next

  • 두 가지 옵션 중 원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된다.(나는 Complete를 선택했다.)
    • Complete : 디폴트로 설정된 경로로 설치
    • Custom : 다른 위치에 설치

  • Data Directory, Log Directory 변경
    • MongoDB를 설치하면 data, log 폴더가 생성되는데, 해당 폴더들의 위치를 변경하고 싶다면 변경하면 된다.(나는 원래 설정되어 있던 그대로 두고 변경하지 않았다.)

  • MongoDB Compass 체크
    • MongoDB Compass는 graphical한 MongoDB UI, 즉 시각화 도구가 포함된 부가적인 툴로 볼 수 있다.
    • 필요하지 않으면 체크를 해제하면 된다. 체크 해제 시 설치 시간이 줄어든다.(나는 체크했다.)

  • Install 클릭

  • 설치 중
    • MongoDB Compass를 함께 설치해서 5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 것 같다.

  • 설치 완료

 

3. MongoDB 실행

  • 위의 설치과정에서 생성된 data 폴더로 들어가 db 폴더를 생성해준다.
    • MongoDB 설치를 위해 여러 블로그를 구글링했는데 db 폴더가 없어서 오류가 나는 경우가 많다고 해 미리 생성했다.

  • bin 폴더에 들어가 mongod.exe 파일을 실행한다.
    • cmd 창이 잠시 떴다가 사라진다.

  • 웹 브라우저 주소 창에 http://localhost:27017 입력 후 확인
    •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뜨는데, 해당 메세지가 뜨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보면 된다고 한다.

반응형